ComfyUI — PixArt Poetic Prowess
세부 정보
파일 다운로드
이 버전에 대해
모델 설명
안녕하세요! 이 워크플로우를 확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소개—
PixArt 모델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몇 가지 워크플로우를 만들어 시도해 보았는데, 프롬프트 준수도 놀라웠지만, 기존에 SD 모델만 사용했을 때보다 조금 더 거칠고, 무작위적이며, 자연스러운 스타일에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몇 달 전에 제가 작성한 일부 프롬프트는 SD 생성에서 전혀 제대로 나온 적이 없었고, 제가 상상한 것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PixArt는 훨씬 더 가까운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문제점—
불행히도 현재로서는 img2img와 업스케일링이 그다지 우수한 옵션이 아닙니다. 단순히 PixArt만 사용할 경우 말이죠. UltimateSDUpscale 노드는 이미지가 무너지지 않으면서 고해상도를 생성하는 데 매우 탁월했지만, 여전히 지나치게 매끄럽고 일반적으로 비례가 어긋난 결과를 보였습니다.
—해결책—
1차 생성을 PixArt로 수행하고, 이후 단계에서는 SD 모델을 사용해 이미지를 세밀하게 정제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SDXL의 리파이너 개념이 초기에 사용되었던 방식과 유사합니다.
SDXL과 SD15 모두 PixArt의 리파이너로 훌륭한 성능을 발휘하며, 둘 다 시도해 보기를 강력히 추천합니다.
이 워크플로우는 이 개념을 바탕으로 구축했으며, SD15/SDXL 모델 간 전환을 마치 스위치를 한 번 뒤집는 것처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사용된 커스텀 노드—
이 모든 노드는 ComfyUI-Manager를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떤 노드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로드에 실패한다면, ComfyUI Manager의 'Install Missing Custom Nodes' 탭을 통해 해당 커스텀 노드 팩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감사의 말씀—
이 워크플로우는 이 커스텀 노드 팩들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습니다. 커스텀 노드 제작자들을 지원하고 싶다면, 그들의 GitHub 저장소에 ⭐를 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거나 개선점, 제안사항이 있다면 댓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또한 다음 업데이트에서 더 집중해 개선해야 할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