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Megaman·Rockman X) Ver.Ke
세부 정보
파일 다운로드
모델 설명
25번째 결과물입니다. 이전에도 유사한 캐릭터를 제작한 적이 있습니다. 이는 비디오 게임 팬들의 마음속에 오래도록 남아 있는 게임 시리즈, 메가맨 X의 주인공인, 정의를 고민하며 눈물을 흘리고 끊임없이 성장하는 로봇 X입니다! 하지만 이는 일본 일러스트레이터 미즈노 케이스케가 10년 전에 리디자인한 아머 버전입니다.
저는 어릴 때 이 게임을 실제로 해본 적이 없습니다. 오직 아케이드에서 친구들이 플레이하는 걸 구경만 했죠. 당시 저는 게임 실력에 자신이 없었고, 이 어려워 보이는 게임을 한다면, 하늘에서 레이저처럼 내려앉고 스테이지 끝에서 다시 떠오르는 멋진 로봇을 계속 깨뜨리기만 할 것 같았습니다. 그 로봇에게 너무 미안해서 게임을 시작하지 못했죠. 얼마나 어린 시절 제가 소심했는지 지금 생각해보면 웃기네요...
그러나 그때부터 품고 있던 그 로봇에 대한 동경은 결코 잊지 않았습니다. 이후 픽시브 등에서 이 게임의 팬아트를 수집하고, 구글을 통해 이 로봇의 공식 일러스트를 계속 모으며, 제 마음속에 푸른 불을 지핀 그 로봇에 대한 애정을 이어왔습니다. 이 로봇은 인류 최고의 지성이 만들어내고 수많은 윤리적 테스트를 거쳐 탄생한 미지의 인공지능이며,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고, 전투를 싫어하며 평화를 위해 몸을 던지는 정의감을 지녔으며, 자신이 추구하는 정의를 다시 반추하고 고뇌하는 철학자적인 면모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저에게, 그리고 아마 이 게임 시리즈를 사랑한 모든 이들에게, 그는 단순한 게임 주인공이나 초인을 넘어, 우리 삶에서 닮아가야 할 진정한 영웅이었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그가 왜 그렇게 강하게 보였고, 실제로 시리즈 전체에서 가장 강력한 로봇이었는지 그 이유는, 그가 어떤 순간에도 자신을 닫지 않고 자기 정체성을 고정시키지 않았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그것이 바로 그를 시리즈 전체에서 가장 강력한 로봇이라 불리게 만든 이유이며, 다른 게임들과 이 게임을 구분짓는 핵심이었습니다.
이 로봇의 이미지를 생성하려면 'x(ver.ke)', 'mega man x \(series\)', 'android', 'humanoid robot', 'reploid', 'robot joints', 'helmet', 'big feet' 등의 프롬프트(트리거 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로봇의 상징적인 X버스터는 최대한 'arm cannon', 'x buster'를 포함시켜 구현하려 노력했습니다. 'energy beam', 'firing'을 추가하면 발사 장면도 나오고, 'thrusters', 'rocket boots', 'hovering', 'flying' 등을 넣으면 발사기로 떠오르며 날아다니는 모습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부분으로, 파란 아머 아래에 드러난 금속 골격(팔과 다리에 한정)을 표현하고자 'robotic reveal', 'mechanical parts', 'mechabare', 'damaged' 등의 키워드를 추가해 보았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만 시도해 보세요!
로라의 가중치는 약 0.65~0.75 정도로 설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로라가 로봇과 메가맨 X 시리즈를 사랑하는 분들에게 즐거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곧 이 캐릭터가 다른 아머로 변신한 버전도 제작할 예정입니다!
혹시 저를 후원하고 싶으신 분이 계시다면, https://ko-fi.com/kofisupporter34447에서 가능합니다!





